

수상자 자기소개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작곡가, 세션으로 활동 중인 Bogus입니다. 작곡은 Bogus를, 세션과 개인 활동은 본명인 김대환 을 쓰고 있어요.
1. 당선 소감
이번 레모네이션에 당선된 소감이 어떠신가요?
살면서 곡을 제출하는 공모에서 당선이 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 정말 실감이 나지 않더라고요.
문자를 받을 당시에 일본에 공연을 하러 잠시 가 있는 상태였는데, 이게 정말 되는구나 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던 것 같고(웃음)
무엇보다 저는 리듬 게임을 17~18년 정도 전부터 지금까지 계속 해오고, 또 그곳에 나오시는 작곡가 분들을 동경하며 음악을 들으면서 꿈을 키워온 지라, 제가 동경하던 작곡가 분들과 같은 게임 안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는 일 자체가 너무 비현실 적이어서 너무 행복했습니다.
2. 당선 음악 작업 과정
레모네이션 음악을 작업하면서, 가장 신경 쓴 부분이 있다면 어떤 부분이었나요?
트랙을 처음 작업할 당시에 잡은 컨셉의 초안은, 서브컬쳐 특유의 속도감과 분위기를 반전 시킬 수 있을 만한, 소위 Drop 이라 말하는 부분, 그리고 빠르지만 메인이 되는 Theme 가 귀에 남을수 있으면 좋겠다 생각했어요.
적당한 BPM을 잡고, 리듬과 음은 많고 복잡하지만 귀에 익을만한 리프와 포인트들을 살리려 노력했고, 제가 듣고 자라고 공부해왔던 여러 부분들을 생각하며 Drop파트를 최대한 공격적이고 임팩트 있게 살려보려 노력했습니다.
3. 레몬사운드와의 작업 과정
레모네이션 당선 후 최종 완성까지 레몬사운드와 함께했을 때 가장 인상깊었던 순간이 있다면 어떤 점일까요?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입상 이후의 수정 과정에서 Drop 파트를 수정하면서 있던 일인데요
Drop 파트가 기존에는 이런 Djent 라고 하는 기타의 공격적인 요소가 아닌, 베이스 신디사이저가 그 역할을 담당하는 Dubstep 스러운 소리를 약간 섞어서 쓰려고 했었거든요.
이 부분에 대해서 '확실하게 Dubstep스러운 소리를 섞어서 Drop시키거나, Djent를 확실하게 가거나 확실하게 한 방향으로 가면 좋겠다' 라는 피드백을 듣고 지금과 같이 좀더 공격적인 Djent 리프로 수정을 하였어요. 제가 기타 세션을 함께 하고 있어서 이쪽이 조금더 편한 방향 이었거든요(웃음)
그렇게 들어보니 정말 훨씬 더 컨셉에도 어울리고 만족스러운 결과물이 탄생 했습니다. 역시 음악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걸 한번 더 배울 수 있는 좋은 순간 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음악세계
1. 음악 시작 계기
아티스트님이 음악을 시작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음악을 계속해야겠다고 결심한 계기가 있다면 궁금합니다.
사실 곡을 쓰는 일로 음악을 시작하지는 않았어요. 저는 기타로 먼저 음악을 시작하고, 전공도 기타를 전공 했거든요. 음악의 '음' 자도 전혀 모르던 14살 시절에 뜬금없이 아버지께서 집에 통기타를 사오시면서 '학업 스트레스 푸는 데에 도움이 되면 좋겠다' 하시며 주셨거든요. 아마 굉장히 후회하시고 있으시지 않을까 싶습니다(웃음)
음악을 처음 할때는 제가 학교에서 그렇게 인기 많거나 사교성이 좋은 친구는 아니었어서, 약간 불합리한 일들도 많이 당했어요. 흔히 말하는 학교 폭력도 당해 봤구요. 그래서 그 당시에 음악을 하는 원동력은 복수심이고 증오감 이었던것 같아요. '너희가 나를 그렇게 대해도 나는 잘되어서 너희는 내가 연주하는 음악을 듣게 되게 만들 거야' 라는 생각으로 연습을 하며 하루하루를 지냈어요. 물론 대학을 와서는 많은 좋은 사람들을 만나고 이런 마음이 자연스레 와해 되었지만요.
그렇게 연주를 하며 지내다가 든 생각이 있었는데요. '나는 누군가 불러주지 않으면 연주를 할 자리가 없는걸까?' 라는 생각이 드니 '앞으로 어떻게 음악으로 살아야 할까?' 라는 의문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그때에 내린 결론이 '내가 설 자리를 내가 스스로 만들수 있는 사람이 되자' 였어요. 내가 곡을 쓰고, 내가 연주를 하고, 내가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사람이 된다면, 매번 뭔가를 만들어서 보여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죠.
그때부터 곡을 쓰고, 미디 라는걸 공부하기 시작했고 아직 너무나 부족하지만 이렇게 좋은 공모에서 입상을 하기도 하는 영광도 갖게 되었네요. 돌이켜 보면 참 신기할 따름입니다.
2. 작곡 과정
음악을 작곡할 때 어디에서 영감을 받아 어떻게 작업을 시작하시나요? (그림을 그리거나 긴 산책을 하는 등)
저는 다큐멘터리나 역사에 관한 것들을 너무나 좋아하고 사랑해요. MBTI를 맹신하지는 않지만, 제가 ISTJ라 그런 건지, 약간 감수성 넘치는 부분에서 보다 현실적인 고충이나 역사적인 사실의 부분들에 대해서 좀 더 슬픔이나 감동을 더 많이 받는 편이거든요
최근에는 그래서 '김민기 선생님과 학전' 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여러번 다시 보고 있어요.
물론 이 이외에도 예술 문화에 관한 것들은 모두 좋아하기 때문에, 패션 산업 역사, 음악의 역사, 등등에 대한 것들도 모두 관심 깊게 보고 감동하곤 해요. 특히나 패션과 음악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더더욱 흥미롭구요.
그러다보니, 책상에 앉아서 음악을 작업할 때에도, 저는 장르부터 먼저 설정을 하고, 그 장르에 대한 역사나 내가 좋아하는 음악들을 항상 떠올리면서, 시작을 하는 것 같아요.
이런 부분들이 먼저가 되고, 그 이후 부터 제 나름의 경험과 감수성에 기반해서 표현하고 싶은 소리, 이야기 들을 만들기 위해 기술적으로 작업을 하는 편입니다.
3. 음악 스타일
음악을 작곡할 때 아티스트님만의 음악적 스타일이 있다면 어떤 것인가요?
장르적인 스타일 이라면 딱히 없이 대부분 작업을 하는 편이고요, 이건 대부분의 작가님들이 모두 같으실 거라 생각해요
그래도 제 음악에 하나를 꼽자면, 제 시작이 리듬게임도 있지만, 15세에 연주를 1년 정도 하면서 부터 일본 애니메이션에 빠져서 정말 당시에 다양한 만화들을 봤거든요.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애니메이션의 오프닝, 엔딩 음악들을 들으면서 '여기에 나오는 음악들을 연주하고 싶다'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고, 인터넷을 찾아보며 연주하고, 또 커뮤니티 활동을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어요.
그래서 제 음악들에서는 약간의 그런 서브컬쳐 스러운 면모가 어느정도 조금씩 뭍어 있다고 저는 생각을 하는 편입니다.
물론 의뢰에 따라 아예 지워버리고 작업을 할수도 있지만, 세상에서 제일 힘든게 '자기 자신이 아닌 척 하는것' 이라는 말이 있는것 처럼, 그런 작업들은 좀더 저에게 어려운 트레이닝이 동반 되는 부분이 있는것 같습니다.
4. 좋아하는 작품
아티스트님의 작품 세계에 특히 영향을 준 예술작품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그림 등) 이나 작가가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음악이 아닌 다른 것이 영감을 주는 경우가 있나요?
장르적으로, 감성적으로 굉장히 다양한 분들이 존재하는데요
게임 음악에서는 M2U님, ICE님, ARForest님, TAK님, Andy Lee님, Croove님 등등이 떠오르네요.
저는 그중에 M2U님의 클래식 악기들에 대한 부분과 EDM적인 요소에 대한 오묘한 결합점이 정말 와닿았고 너무 좋았습니다. Gypsy Tronic 이나 Marigold, Mysotis, Masqurade, Paradais, Toy War 등등 나열하자면 끝이 없네요(웃음)
이외의 장르에서는 Daft Punk, The Weeknd, Bruno Mars, Mark Ronson, Dua Lipa, Skrillex, Zedd, Madeon, Debussy등등 여러 사람들이 있고
국내 아티스트들은 정 반대로 김민기 선생님, 유재하 선생님, 김현식 선배님, 조용필 선생님, 여행 스케치 선배님 같은 분들을 너무나 좋아합니다.
음악이 아닌 다른 부분에서 영감을 얻는 것은, 저는 이 아티스트들의 삶을 엿볼수 있는 역사와 인터뷰들 인것 같아요. 김현식 선생님의 마지막과, 동아기획 아티스트 선배님들의 인터뷰, 다큐를 보고 '내사랑 내곁에' 를 들으면, 뭔가 노래 안에서 사람의 생명의 불씨가 꺼져가는게 느껴지고, 스스로를 불태워 가며 혼신을 다하는 그런 배경이 느껴지면서 새롭게 음악을 듣고, 이입할수 있거든요.
전 그런 인터뷰, 다큐멘터리가 전하는 그분들의 역사가 곧 예술이라 생각합니다.
5. 인상 깊었던 순간
지난 음악 인생을 되돌아봤을 때, 지금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이 있다면 어떤 순간일까요?
여러가지 사건들이 있었지만 하나를 꼽자면, 작년에 일본을 다녀왔었던 때에 있던 일이었어요.
일본에 여러 현지 친구들이 있어서 놀러 가서 친구들에 Jam Day(즉흥 연주 합주) 를 가자, 준비해 뒀다, 라고 하며 저를 데려 가더라구요. 거기서 많은 사람들과 인사를 하고 연주를 들었어요. 정말 다들 너무 잘 하더라고요. 근데 그 중에 전업 직업으로 음악을 가진 사람이 호스트 베이스 멤버 말고는 아무도 없었어요. 모두 취미였던 거죠.
뭔가, 저는 한국에서 왔고 친구가 '한국에서 온 뮤지션 친구다' 라고 소개를 하니 약간 거기서 '지면 안된다' 라는 경쟁 심리가 발동해서 잘 해야 할것 같고, 잘 연주 해서 보여줘야 한다 라는 생각을 먼저 가지게 되었어요. 하지만 연주는 항상 생각 데로 잘 되지 않았지요.
제 스스로 너무 아쉬운 연주를 마치고 내려오니 모든 사람들이 '멋지다' '잘한다' 하며 여러 질문을 해주더라고요. 전 잘 이해가 안되었어요 그게, 약간의 은은한 기싸움이 있을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했거든요. 그리고 뒤이어 앉아서 연주들을 보고 있는데 잘 하는 사람들, 미숙한 사람들 모두 서로 잘한다고 말해 주면서 듣는 사람들도 너무 재미있게 듣고, 연주하는 사람들도 너무 재미있게 연주를 하고 있더라고요.
그 순간이 정말 저는 부끄러웠어요 제 자신이. '이 사람들은 음악을 즐기고 행복해 하는데 나만 경쟁을 하려 했구나, 오늘 내가 한건 음악이 아니었어' 라는 생각이 문뜩 들었거든요.
그 이후에는 정말 많은게 바뀌었어요. 경쟁보다는 인정을 선택하게 된 계기가 되었거든요.
경쟁은 나와의 경쟁만, 남들의 노력과 작품과 퍼포밍과 연주 등등은 모두 존경과 존중을 하고 있어요. 예전에는 '너 너무 잘한다, 멋지다' 라는 말을 입 밖으로 꺼내는게 너무 힘들었어요. 남을 인정하면 내가 못나게 되는 느낌이 들었거든요.
이 일을 기점으로 남을 인정하고 남에게 배우고 내가 부족한걸 다듬는 일이 가장 생산적이고 아름답다고 생각을 하게 되어서, 많이 배우고 좋은 영향을 주변에 많이 드리려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6. 음악가로서의 삶
음악가로서 살아갈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전 이상과 현실의 괴리라고 생각해요
음악을 누군가가 강압적으로 시켜서 음악 생활을 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거라고 생각해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내가 이 일이 좋아서' 이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을 텐데, 그렇게 지내다 보면 자연스럽게 많은 훌륭한 뮤지션들을 보고 '아 나도 저렇게 음악하고 싶어, 나도 저런 삶을 살고 싶어' 라는 생각도 자연스럽게 하게 되는것 같아요
하지만 당연한 이야기 이지만, 생활고 라는 현실적인 문제 앞에서 내가 원하는, 내가 그리는 삶만을 살수는 없잖아요? 내가 이런 음악을 좋아하지만 다른 것들도 해야하고, 그러다 보면 내가 원한 의도와 상관없이 내가 이상으로 그리던 꿈과 멀어지기도 하고요. 그러다 보면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음악을 하고 있지를 않게 되니 자연스럽게 '내가 무었을 위해 열심히 하지? 내가 무엇을 위해 음악을 하고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게 되는것 같아요. 음악을 하고 있지만 '나 자신을 위해서' 음악을 하는것 같지 않은 기분이 들때가 있는것 같아요
그러다 보면 음악이 재미가 없어지고, 제가 원하는 방향이 아닌걸 계속 하게 되니까요. 그렇게 음악이 힘들다 힘들다 생각하면, 뭔가 일이 잘 되고 있는데도 힘들어서 그만두게 되는 시기들이 생기는것 같아요.
7. 앞으로의 목표
음악가로서 앞으로의 목표가 있다면 어떤 것인가요?
위의 연장선으로 답을 할수 있을것 같아요. 저는 '음악' 이라는 카테고리가 정말 넓다고 생각 하거든요.
'어떤 방향이든 음악 이란 카테고리 안에서 지낼 수 있는 삶' 을 살고 싶은게 제 목표입니다, 예전에 다른 인터뷰 에서도 똑같이 말을 했네요 (웃음)
제가 곡을 쓰든, 연주를 하든, 무대 설치를 하든, 엔지니어를 하든, 저는 이 모든 것들이 합쳐져 하나의 '작품' 이라는 결과를 만든다 생각해요. 그 작품을 만드는 데에 일조 할 수 있는 삶을 계속 살며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면, 그것이 저에게 가장 큰 의미이고 행복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8. 동료 작곡가들에게 한마디
함께 음악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 동료 음악가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말해 주세요.
주제 넘는 말을 하게 되지 않을까 걱정이 되긴 하지만(웃음)
스스로가 열심히 하는지, 하지 않는지는 가장 잘 아는 일이니까, 스스로에게 '너 오늘 정말 열심히 했다' 라는 말을 부끄럽지 않게 할수 있는 하루하루를 보낸다면, 그것들이 쌓이고 다져 져서 언젠가 해를 향해 고개를 내밀 수 있는 날들이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도 그걸 믿으며 열심히 하려 노력하고 있고요.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뮤지션 분들, 너무나 존경하고 대중문화의 한 축을 담당해 주시는 일들에 대해서 감사함을 표합니다. 다함께 파이팅!
9. 음악가님에게 레몬사운드란?
음악가님에게 레몬사운드란 어떤 존재인가요? 다섯 글자로 정의해 주세요.
『터닝포인트』


Winner Introduction
Could you introduce yourself briefly?
Hello, I’m Bogus, a composer and session musician. Bogus is my composer name, and I go by my real name, Kim Daehwan for session work and personal activities.
1. How do you feel about winning?
What were your thoughts upon being selected as a winner in this Lemonation?
This was my first time winning a competition by submitting my own music, so it felt surreal. I was actually in Japan for a performance when I heard the news, and my first thought was, ‘Wow, this is really happening!’ (laughs)
More than anything, I’ve been playing rhythm games for about 17–18 years now, and I’ve always looked up to the composers featured in these games, growing my own dreams while listening to their music. So, knowing I’d be able to be part of the same game as the composers I admired felt unreal, and I was incredibly happy.
2. Creative Process
What was the main aspect you focused on while creating your Lemonation piece?
When I first started working on the track, my concept was to create a contrasting section that would capture the unique speed and vibe of subculture music, specifically the 'Drop.' I wanted the main theme to be catchy despite the fast pace. I set a suitable BPM, added a lot of rhythm and melodic complexity, and aimed to make memorable riffs and highlights. I drew on various influences from what I’ve studied over the years and tried to make the Drop section as aggressive and impactful as possible.
3. Working with Lemon Sound
Was there a memorable moment during the working process with Lemon Sound?
One of the most memorable parts of this experience was revising the Drop section after receiving feedback. Initially, I had planned for the Drop to be more Dubstep-oriented, with an aggressive bass synthesizer instead of a guitar riff. However, I received feedback suggesting I either fully commit to the Dubstep sound or go with a clear Djent approach. So, I decided to revise it into the more aggressive Djent riff it has now. Since I also work as a guitar session musician, this direction felt more natural for me. (laughs)
After making the change and listening again, the track felt much more in line with the concept, and I was really satisfied with the final result. This experience taught me again that music isn’t something you do alone—it was such a valuable learning moment.
Artistic Vision
1. Starting in Music
What first inspired you to start in music, and was there a moment when you knew you wanted to pursue it professionally?
I didn’t start music by composing; I began by learning guitar, which I also majored in. When I was 14, my father unexpectedly brought an acoustic guitar one day, thinking it might help me relieve academic stress. I bet he probably regrets that decision a bit now. (laughs)
In school, I wasn’t particularly popular or social, so I went through a lot of things, including school bullying. Back then, I was fueled by a sense of revenge and anger. I would practice every day, thinking, ‘Even if you treat me this way, I’ll make it, and you’ll be listening to my music someday.’ This mindset kept me going, though it eventually faded after meeting good people in college.
As I continued performing, a thought kept nagging at me: ‘If there's no one asking me to perform, will I never be able to perfom?’ That made me question how I’d continue to live with music. So, I decided that I wanted to be the kind of person who could create opportunities for myself - to write, perform, and produce music on my own, so I could always have something to share.
That’s when I started writing music and learning MIDI. I’m still a long way from where I want to be, but this competition win is an honor I’m grateful for. Looking back, it’s amazing how things have turned out.
2. Composition Process
When you compose, where do you typically find inspiration, and how do you begin the process? (For example, sketching ideas or taking long walks.)
I’m a huge fan of documentaries and history. I don’t necessarily trust MBTI, but as an ISTJ, I tend to get more emotional and moved by realistic struggles or historical facts than by sentimental topics.
Recently, I’ve been watching the documentary about Kim Min-gi and Hakjeon repeatedly. As a fan of arts and culture, I follow fashion industry history, music history, and similar topics passionately. Music and fashion are so intertwined that I find them especially fascinating.
When I sit down to create music, I often start by selecting a genre. Then I think about the history of that genre or the songs I love, using those as my initial inspiration. From there, I let my experiences and sensibilities guide me in crafting the sounds and stories I want to express.
3. Musical Style
Do you have a distinct musical style that you identify as your own?
I work across a variety of genres and styles, which I think is the case for most composers. But if I had to highlight one aspect of my music, it would be my connection to rhythm games. I started playing rhythm games around age 15, and soon after, I got really into Japanese anime and watched a ton of series. Naturally, I was drawn to anime opening and ending themes and wanted to play them myself. That’s when I began looking up music online, practicing, and becoming active in music communities.
So I think that’s why you can sometimes detect a hint of subculture influence in my music. Of course, I am able to suppress that influence depending on the project, but it’s definitely harder for me to work in a way that doesn’t feel like myself. As they say, ‘Pretending to be something you’re not is the hardest thing to do.’
4. Favorite Influences
Are there any specific works of art - movies, music, animation, paintings, etc. - or creators that have particularly influenced your artistic vision? Are there any non-musical sources that inspire you?
When it comes to musical influences, there are so many talented artists I look up to. In the game music field, people like M2U, ICE, ARForest, TAK, Andy Lee, and Croove come to mind. Among them, M2U’s unique blend of classical instruments with EDM elements has always resonated with me. I could list tracks like ‘Gypsy Tronic,’ ‘Marigold,’ ‘Mysotis,’ ‘Masquerade,’ ‘Paradais,’ and ‘Toy War’ endlessly. (laughs)
Outside of that, I admire artists like Daft Punk, The Weeknd, Bruno Mars, Mark Ronson, Dua Lipa, Skrillex, Zedd, Madeon, and Debussy. In Korea, I look up to figures like Kim Min-gi, Yoo Jae-ha, Kim Hyun-sik, Cho Yong-pil, and the members of the band Travel Sketch.
When I seek inspiration outside of music, I usually turn to the stories and interviews that give insight into these artists’ lives. Watching a documentary about Kim Hyun-sik’s final days or hearing interviews with artists from Dong-A, then listening to ‘My Love, Stay by My Side,’ it’s as if I can feel a flame dying within that song. It’s moving to experience the background and passion that fuel these works in such a visceral way. I consider these life stories, as conveyed through interviews and documentaries, to be art in their own right.
5. Unforgettable Moments
Reflecting on your musical journey, is there a particular moment that stands out as especially memorable?
There have been many memorable moments, but if I had to choose one, it would be my visit to friends in Japan last year. My friends invited me to a Jam Day - a casual jam session. I got to meet many people and listen to them play, and they were all so talented. But besides the host, who was a professional bassist, everyone else was doing music as a hobby.
Being introduced as ‘a musician from Korea,’ I felt this sudden competitiveness, thinking I had to perform well and make an impression. But performances rarely go as planned, and I was disappointed with how I played. Despite that, everyone complimented me and asked questions, which I didn’t quite understand. I’d expected some unspoken competition, but instead, I saw people genuinely enjoying both listening and playing, regardless of skill level.
That moment made me feel embarrassed. These people were here to enjoy music, while I had come to compete. I realized that what I did wasn’t music that day. Since then, I’ve chosen appreciation over competition. I reserve competition for myself, while respecting others’ efforts and art. I used to find it hard to say, ‘You’re amazing,’ as it made me feel inferior. But now, I believe that acknowledging others, learning from them, and improving myself is the most beautiful and productive approach. I strive to share positive influence and learn from those around me.
6. Challenges as a Musician
What do you find most challenging about being a musician?
For me, it all comes down to the gap between ideals and reality. I think few people pursue a life in music because they were forced into it. Most of us start because we love it. Naturally, we see amazing musicians and think, ‘I want to make music like that and live that life.’ But then, practical realities like financial struggles come into play, and you can’t just live the life you envisioned. Even if you love a particular kind of music, you may have to do other things, and that can pull you further from the dreams you initially had. Eventually, you start wondering, ‘What am I working so hard for? Why am I even doing music?’ You find yourself making music, but it doesn’t feel like it’s for you.
When that happens, the joy of music fades, and it feels draining to keep going in a direction you don’t want. Even when things are going well, it can make you want to quit.
7. Future Goals
What are your goals moving forward in your music career?
I am able to answer coherently as the previous question. To me, music is such a vast field. My goal is to live a life ‘within the category of music,’ whatever form that might take. I’ve said this in another interview before. (laughs)
Whether I’m composing, performing, setting up a stage, or working as an engineer, I believe each of these roles contributes to creating a final ‘work of art.’ If I can be part of the process that brings a piece of music to life and earn a living doing so, I think that would give my life the greatest meaning and happiness.
8. Message to Fellow Composers
Is there anything you would like to share with fellow musicians on a similar journey?
I hope this doesn’t sound presumptuous. (laughs) But since you know best whether or not you’re giving your all, if you can tell yourself, ‘You really did your best today,’ and feel proud, then those efforts will build up and eventually let you rise toward the light. I’m trying to live with this belief and to keep working hard. I have deep respect for every musician around the world who’s pursuing their dreams. Please don’t lose hope. We all go through hardships, and even if you feel isolated, you’re not alone. Let’s continue supporting each other and follow our hearts to create good music.
9. What is Lemon Sound to You?
If you were to describe Lemon Sound in one sentence, what would they be?
Turning Point


自己紹介
簡単な自己紹介をお願い致します。
はじめまして。作曲家として、またセッションプレイヤーとして活動しているBogusです。作曲活動ではBogusを使用し、セッションや個人活動では本名のキム・デファンを使っています。
1. 入選の感想
レモネーションに入選した感想をお聞かせてください。
人生でコンテストに曲を提出し受賞するのは初めてのことで、実感が湧かないくらいでした。通知を受けたときはちょうど日本で公演をしている最中で、「本当に実現したんだ」と思ったのが最初の感想だったと思います(笑)。
何よりも私は音楽ゲームを17~18年前から今まで続けており、その中で登場する作曲家の方々を憧れ、音楽を聴きながら夢を育んできました。憧れの作曲家の方々と同じゲームに自分の曲が入るということ自体が非常に非現実的で、非常に幸せでした。
2. 入選作品の制作過程
レモネーションの作品を制作する際に、最も気を使った部分について教えてください。
トラックを最初に作成する際、サブカルチャー特有のスピード感や雰囲気を反転させることができる、いわゆるDropと、速さがありながらもメインとなるテーマが耳に残るようなコンセプトの草案を作成しました。
適切なBPMを設定し、リズムや音は多くて複雑ですが、耳に残るようなリフやポイントを生かすように努力しました。そして、私が聴き、成長し、学んできたさまざまな要素を考慮しながら、Dropパートをできるだけ攻撃的でインパクトのあるものに仕上げるように努めました。
3. レモンサウンドとの制作過程
レモネーションに入選後、最終完成までの間、レモンサウンドと共に制作した過程で最も印象に残った点をお聞かせいただけますか。
最も印象的だったのは、入賞後の修正過程でDropパートを修正したことです。
元々は、Djentというギターの攻撃的な要素ではなく、ベースシンセサイザーがその役割を担い、Dubstepのような音を少し混ぜてDropパートを作ろうと思っていました。
しかし、この部分について「確実にDubstepのような音を混ぜてDropさせるか、Djentをしっかりと活かすか、確実に一方向に進めた方がいい」というフィードバックを受け、今のようにもっと攻撃的なDjentリフに修正しました。ギターセッションを行っていたので、この方向が少し楽だったんです(笑)
そうして改めて聴いてみると、コンセプトにも非常に合っていて、満足できる結果が生まれました。やはり、音楽は一人で作るものではないということを改めて学べた良い瞬間だったと思います。
音楽世界
1. 音楽を始めたきっかけ
音楽を始めたきっかけは何ですか? 音楽を続けたいと決心したきっかけがあれば教えてください。
実は作曲から音楽を始めたわけではありません。私は最初にギターで音楽を始め、専攻もギターでした。音楽について全く知らなかった14歳の時、突然父がアコースティックギターを買ってきて、「学業のストレスを解消できればいいと思って」と言って渡してくれました。おそらく、父は今でもとても後悔しているんじゃないかと思います(笑)
音楽を始めた頃は、学校で人気があるタイプでもなく、社交的でもなかったので、かなり不合理なことも多く経験しました。いわゆる学校でのいじめもありました。だからその当時、音楽を続ける原動力は復讐心と憎しみだったのかもしれません。「お前たちがいじめても、俺は成功して、お前たちに俺の音楽を聞かせてやるんだ」という思いで練習して、毎日を過ごしました。もちろん大学に入ってからは、良い人たちに出会い、こういった気持ちは自然と消えていきました。
そうやって演奏しているうちに、ある考えが浮かびました。「誰かに呼ばれないと、演奏する場所はないのだろうか?」と思うようになり、「これからどう音楽で生きていくべきか?」という疑問が湧いてきました。そこで下した結論は「自分の居場所を自分で作れる人間になろう」でした。自分で曲を作り、自分で演奏し、自分で全部実現できる人間になれば、常に何かを作り出して見せ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と思ったんです。
そこから曲を書き始め、MIDIというものを勉強しました。まだまだ不十分ですが、こんな素晴らしいコンテストで入賞する栄光も得ることができました。振り返ってみると、本当に不思議な感じがします。
2. 作曲の過程
音楽を作曲する際、どこからインスピレーションを得て、どのように作業を始めますか。(例:絵を描いたり、長い散歩をしたりなど)
私はドキュメンタリーや歴史がとても好きです。MBTIを盲信してい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が、私がISTJだからか、感情的なものよりも現実的な苦悩や歴史的な事実に触れたとき、悲しみや感動を感じることが多いです。
そのため最近は『キム・ミンギ先生と学全』に関するドキュメンタリーを何度も見ています。
もちろん、それ以外にも芸術や文化に関することはすべて好きなので、ファッション産業の歴史、音楽の歴史などにも深い関心を持っており、感動しています。特にファッションと音楽は切り離せない関係なので、より一層興味深いです。
そうしたこともあり、作業をするときは、まずジャンルを設定し、そのジャンルの歴史や自分が好きな音楽を思い浮かべながら始めることが多いです。
これらのことが先行した後、その後は自分なりの経験や感性を基にして、表現したい音やストーリーを作るために技術的に作業を進めるタイプです。
3. 音楽のスタイル
音楽を作曲する際、アーティストさん独自の音楽的スタイルがあるとしたら、どのようなものですか。
おそらく多くの作曲家がそうであるように、私もジャンル的なスタイルにこだわらず、ほとんどの作品を作成しています。
それでも、私の音楽スタイルを一つ挙げるとすれば、私の音楽にはサブカルチャーの影響が少し現れていると思います。音楽ゲームで作曲を始めた理由もありますが、15歳の時に1年間ほど演奏をしていたことがきっかけで、その頃から日本のアニメに夢中になり、さまざまなマンガを見ていました。それで、アニメのオープニングやエンディングの音楽を聴きながら、「これらの音楽を演奏したい」と思うようになり、インターネットで調べて演奏し、自然とコミュニティ活動に参加するようになりました。
もちろん、依頼によってはその色を完全に消して作業することもありますが、「自分自身でないふりをすることが一番難しい」という言葉のように、そのような作業には私にとって難しいトレーニングが伴うことになります。
4. 好きな作品
アーティストさんの作品世界に特に影響を与えた芸術作品(映画、音楽、アニメーション、絵画など)や作家がいれば、教えていただけますか。また、音楽以外のものからインスピレーションを受けることはありますか。
ジャンルや感情的に非常に多様な方々がいらっしゃいます。
ゲーム音楽では、M2Uさん、ICEさん、ARForestさん、TAKさん、Andy Leeさん、Crooveさんが思い浮かびます。その中でもM2Uさんのクラシック楽器に対するアプローチとEDM的要素の絶妙な組み合わせが本当に心に響いて、とても好きです。Gypsy TronicやMarigold、Mysotis、Masquerade、Paradais、Toy Warなど、挙げればキリがないですね(笑)。
その他のジャンルでは、Daft Punk、The Weeknd、Bruno Mars、Mark Ronson、Dua Lipa、Skrillex、Zedd、Madeon、Debussyなど、様々な方々がいます。
国内アーティストでは、김민기先生、유재하先生、김현식先輩、조용필先生、旅行スケッチ先輩などをとても尊敬しています。
音楽においては、アーティストたちの人生を垣間見ることのできる歴史やインタビューから多くのインスピレーションを得ています。特に김현식先生の最後の時や、東亜企画アーティスト先輩たちのインタビュー、ドキュメンタリーを見て「내사랑 내곁에」を聴くと、歌の中で人間の命の灯が消えていくのが感じられ、彼らが自分を燃やし尽くして全力で取り組んだ背景が感じられます。それを通して、音楽を新たに聴き入れ、共感することができるんです。
私は、そうしたインタビューやドキュメンタリーが伝える彼らの歴史こそが、まさに芸術だと考えています。
5. 心に残った瞬間
過去の音楽人生を振り返ったとき、今一番記憶に残る瞬間があれば教えていただけますか。
いろいろな出来事がありましたが、その中でも一つ挙げるとすれば、昨年日本を訪れたときの出来事です。
日本には現地の友達がたくさんいるので、遊びに行くと友達が「Jam Day(即興演奏の合奏)に行こう、準備しておいたよ」と言って、私を連れて行ってくれました。そこでたくさんの人たちと挨拶を交わし、演奏を聴きました。みんな本当に上手で驚きました。でも、その中で音楽を職業にしている人は、ホストベースメンバー以外には一人もいませんでした。みんな趣味で演奏している人たちだったんです。
私は韓国から来たので、友達が「韓国から来たミュージシャンだよ」と紹介してくれると、ちょっと「負けたくない」という競争心が湧いてきて、うまく演奏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思いが強くなりました。しかし、演奏はなかなかうまくいきませんでした。
自分でとても悔しい演奏を終えて降りてきた時、みんなが「かっこいいね」「上手だね」と言って色々な質問をしてくれました。正直、そのことが理解できませんでした。少し、微妙な駆け引きがあるのかなとも感じていたからです。そして、座って他の人たちの演奏を見ていると、上手な人たちも、まだ不完全な人たちもお互いに「すごい」と言い合い、聴いている人たちもとても楽しく聴いていて、演奏する人たちも本当に楽しんで演奏しているんです。
その瞬間、私は本当に自分が恥ずかしくなりました。「この人たちは音楽を楽しんで幸せを感じているのに、私は競争をしようとしていたんだ。今日の私は音楽をしていたわけじゃなかったんだ」と思ったんです。
その後、私の中で本当に多くのことが変わりました。競争ではなく、認め合うことを選ぶきっかけになったんです。競争は自分との戦いだけ、他の人の努力や作品、パフォーマンス、演奏などはすべて尊敬と敬意をもって接しています。昔は「あなたはすごいね、かっこいいね」という言葉を口にするのがとても難しかったんです。他人を認めると、自分が劣っているような気がしていましたから。
この出来事をきっかけに、他人を認め、他の人から学び、自分の足りない部分を磨くことが最も生産的で美しいことだと感じるようになり、たくさん学び、周りにも良い影響を与えられるよう努力しています。
6. アーティスト としての人生
アーティストとして生きていく上で、最も難しい点は何だと思われますか。
私は理想と現実のギャップだと思います。
誰かに強制されて音楽をしている人はほとんどいないと思います。ほとんどの人が「自分がこの仕事が好きだから」という理由で音楽の道に進んだ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そうして過ごしているうちに、自然とたくさんの素晴らしいミュージシャンを見て、「自分もあんな風に音楽をしたい」「あんな生活を送りたい」と思うようになるのだと思います。
しかし、当然のことですが、生活費という現実的な問題に直面すると、自分が望む、描いていた理想の生活だけをするわけにはいきませんよね。自分が好きな音楽をしていたとしても、他のこと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もあり、そうしているうちに、理想として描いていた夢から遠ざかってしまうこともあります。そうなると、自分が望んでいる方向で音楽をしていないことに気づき、自然と「自分は何のために頑張っているんだろう? 自分は何のために音楽をしているんだろう?」という思いが湧いてくるんだと思います。音楽をしていても、「自分のために音楽をしているわけではない」という気持ちになることもあります。
そうなってくると、音楽が楽しくなくなり、自分が望んでいた方向ではないことを続けていると感じるようになります。そうやって音楽がつらい、つらいと思っていると、何かうまくいっ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疲れて辞めたくなる時期が来ることがあると思います。
7. これからの目標
アーティストとして今後の目標があれば教えていただけますか。
先ほどの答えを続けて話すことができると思いますが、私は「音楽」というカテゴリーが本当に広いと思っています。
「どんな方向であれ、音楽というカテゴリーの中で過ごせる生活」を送ることが私の目標です。以前のインタビューでも同じことを話した気がします(笑)。
私が曲を作ったり、演奏したり、ステージを設置したり、エンジニアとして関わったり、すべての活動が一つの「作品」として結実すると思っています。その作品を作ることに貢献できる生活を送りながら、生活を成り立たせることができれば、それが私にとって一番大きな意味と幸せだと思います。
8. 仲間の作曲家へ一言
一緒に音楽人生を歩んでいる同僚の 作曲家 たちに何か伝えたいことがあれば一言お願いします。
ちょっと生意気なことを言うかもしれませんが(笑)、自分がどれだけ頑張っているかということは、結局自分が一番よく分かっていると思います。「今日は本当に頑張った」と自分に言える日々を送ることができれば、その積み重ねがいつか自信を持って胸を張れる日につながるのではないかと考えています。私もそのように信じて、日々努力しています。この世のすべてのミュージシャンの皆さんを心から尊敬しており、大衆文化の一翼を担ってくださり、感謝の気持ちでいっぱいです。みんなで一緒に頑張りましょう!
9. アーティストさんにとってレモンサウンドとは
アーティストさんにとって、レモンサウンドとはどのような存在でしょうか。短く一文でお願いします。
ターニングポイント